"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펄프(Pulp)
펄프는 종이 제조의 기본 재료로 사용됩니다. 주로 나무에서 추출하지만, 대나무, 대마, 밀짚 등 다양한 식물성 원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펄프 제조 과정은 크게 기계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으로 나뉩니다.
1. 기계적 펄프(Mechanical Pulp): 원료를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펄프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은 섬유질을 그대로 유지하며, 높은 수율을 가지지만, 종이의 내구성이나 색상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화학적 펄프(Chemical Pulp):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목재의 리그닌(섬유질을 묶어주는 접착제 같은 물질)을 제거하고 순수한 섬유질만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 만든 펄프는 더 희고 강도가 높아 고급 종이 제조에 적합합니다.
고지(Waste Paper)
고지는 사용되었던 종이나 종이 제품을 말하며, 재활용을 통해 다시 종이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고지를 재활용하는 것은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고지는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고지의 발생에 따른 분류
1. 상업용 고지: 사무실, 상점 등에서 발생하는 폐지로, 대량으로 수집되어 재활용이 용이합니다.
2. 산업용 고지: 인쇄소, 출판사 등에서 발생하는 인쇄 미스나 자르고 남은 종이 등입니다.
3. 가정용 고지: 일반 가정에서 나오는 신문지, 잡지, 포장지 등이 해당됩니다.
종이 품질에 따른 분류
즉 재활용 종이는 품질이나 재활용 가능성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뉩니다. 일반적으로 고지는 상급 고지, 중급 고지, 그리고 저급 고지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각 등급은 고지의 출처, 처리 용이성, 재활용 시 얻을 수 있는 종이의 품질에 따라 결정됩니다.
1. 상급 고지(上級古紙): 이 등급의 고지는 주로 사무실에서 나오는 백색 용지, 인쇄소에서 나오는 잉크가 거의 묻지 않은 깨끗한 인쇄지 등이 해당됩니다. 상급 고지는 재활용 과정에서 비교적 고품질의 종이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재활용 산업에서 매우 가치가 높습니다. 또한, 처리 과정에서의 오염물질 발생이 적고, 밝은 색의 종이를 재생산할 수 있어 선호됩니다.
2. 중급 고지(中級古紙): 중급 고지는 일간지나 잡지, 소책자 같은 인쇄물이나 포장지 등이 포함됩니다. 상급 고지보다는 잉크나 기타 오염물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지만, 적절한 처리 과정을 거쳐 여전히 좋은 품질의 종이를 재생산할 수 있습니다. 중급 고지는 상급 고지에 비해 수급이 더 풍부하고,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3. 저급 고지(低級古紙): 저급 고지는 피자 상자, 음식물이 묻은 포장지, 사용 후 매우 오염된 종이 등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고지는 재활용 과정에서 추가적인 정제 과정이 필요하며, 재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종이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저급 고지는 처리 비용이 더 많이 들고,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각 등급의 고지는 재활용 과정과 그에 따른 제품의 품질, 환경적 영향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분류 및 활용되어야 합니다. 재활용 산업에서는 이러한 고지 등급을 기준으로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려고 노력합니다.
초지 전 처리
펄프 제조 공정에서는 크리너, 스크리닝, 리파이닝 등 여러 단계를 거쳐 펄프의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각각의 공정은 펄프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고, 섬유의 특성을 개선하여 고급 종이 제작에 적합한 펄프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크리너(Cleaner)
크리너는 펄프로부터 무거운 불순물이나 작은 입자들을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이 공정은 주로 원심력을 이용하여 펄프 내의 불순물을 분리합니다. 크리너는 고밀도 크리너(High Density Cleaner, HDC)와 저밀도 크리너(Low Density Cleaner, LDC)로 나뉩니다.
1. 고밀도 크리너(HDC): 무거운 불순물(예: 금속 조각, 돌, 유리 조각 등)을 제거합니다. 이러한 불순물은 펄프의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제지 기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2. 저밀도 크리너(LDC): 경량의 불순물(예: 플라스틱 조각, 기포 등)을 제거합니다.
스크리닝(Screening)
스크리닝 공정은 펄프 내의 불순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과정입니다. 이 공정은 펄프로부터 원하지 않는 크기의 섬유 덩어리나 불순물을 제거하여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스크리닝 장치는 주로 구멍이 있는 스크린(홀 스크린)과 슬롯이 있는 스크린(슬롯 스크린)을 사용합니다.
1. 홀 스크린: 큰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2. 슬롯 스크린: 더 작은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리파이닝(Refining)
리파이닝 공정은 펄프의 섬유를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섬유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섬유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공정을 통해 종이의 강도, 부드러움, 인쇄 적합성 등의 특성이 개선됩니다. 리파이너에서는 섬유가 압력과 마찰을 받으며 풀어지고, 섬유 끝이 부서지며, 섬유의 표면적이 증가합니다.
각 공정은 펄프를 최종 제품인 종이로 만드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크리너와 스크리닝은 펄프로부터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며, 리파이닝은 섬유의 특성을 개선하여 종이의 사용성을 높입니다.
고지의 추가 처리
고지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종이를 제작하는 과정은 환경 보호 및 자원 절약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순수 펄프에 비해서 고지를 사용하여 새로운 종이를 만들기 전에, 고지에서 잉크와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러 처리 공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고품질의 재활용 펄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종이 제조 과정에 투입됩니다.
탈묵 공정
탈묵 공정은 재활용 고지에서 잉크를 제거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이 과정은 크게 부상법과 워싱 방식으로 나뉩니다.
1. 부상법(Flotation): 이 방식은 공기 기포를 이용하여 잉크 입자를 부유시키고 제거합니다. 고지 슬러리(물에 풀어진 고지)가 특수 설계된 통에 채워지고, 공기를 불어넣어 기포를 발생시킵니다. 이 기포들이 잉크 입자와 결합하여 슬러리 표면으로 떠오르게 되며, 여기서 이물질을 걷어내어 제거합니다. 부상법은 효율적인 잉크 제거 방법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2. 워싱 방식(Washing): 워싱 방식은 고지 슬러리에 지속적으로 물을 뿌려 잉크 입자를 흘려보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특히 물에 용해되는 잉크와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입니다.
표백 공정
탈묵 공정을 거친 후에도 펄프는 여전히 유색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표백 공정이 필요합니다. 표백은 펄프의 색을 밝게 하고 더욱 순수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 화학적 처리를 하는 과정입니다.
화학적 표백: 펄프 내 유색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하거나 제거합니다. 여러 종류의 표백제가 사용되며, 환경에 덜 해로운 산소, 오존, 과산화수소 등이 널리 사용됩니다. 화학적 표백은 고도로 효율적이지만, 과정 중 화학물질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블로그 인기글
압출과 사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서론 플라스틱의 발명과 함께 현대 산업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변모했습니다.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들은 우리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주며, 이러한 제품들을 만들기 위한 기본 공정에는 압출과 사출이 있습니다. 압출과 사출은 플라스틱을 가공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두 가지 주요 공정으로, 각각의 공정은 플라스틱 제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압출 공정은 플라스틱 펠렛을 녹여서 연속적인 형태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생성된 플라스틱은 필름, 시트, 파이프, 프로필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습니다. 반면, 사출 공정은 녹인 플라스틱을 고압으로 금형에 주입하여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복잡한 형태와 정밀한 부품을 대량으로 생산하..
10yp.tistory.com
DSC의 원리와 이해
서론 최근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식품 포장 소재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고분자 물질인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NY(Nyl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이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들 소재는 각각의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이는 식품의 신선도 유지, 보관, 운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특히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DSC는 물질의 열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 기법으로, 물질이 가열되거..
10yp.tistory.com
'식품 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이의 제조와 고지에 대하여 (2) | 2024.04.29 |
---|---|
종이 포장재 (4) | 2024.04.27 |
마법의 가루(?) MSG 건강과 우마미맛 (4) | 2024.04.15 |
과학적 원리로 알아보는 튀김 맛있게 하는방법 (3) | 2024.04.13 |
압출과 사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