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론 알고계셨나요? 우리가 접하는 대부분의 포장지는 2가지 이상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내충격성과 열봉합성이 주된 이유이고, 추가적으로 기체 및 수분 차단성을 부여하기 위한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필름들또한 여러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여러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름, 다층필름(Multilayer film)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다층으로 만들까? 필름은 왜 다층으로 만들까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주된 이유는 원하는 물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기본적으로 필름은 한쪽면은 다른 필름과 합지가 되어야하고, 다른 한쪽면은 열봉합성을 갖거나, 코팅이되거나, 인쇄가 되는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층으로 동일한 원료 구성을 가진 필름의 경우..
서론 알루미늄을 사용하지 않고도 투명하면서도 긴 유통기한을 보장하는 투명증착필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러한 투명증착필름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제품의 포장재로 사용되며, 그 특성과 제조 공정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연 Al도 쓰지않고, 투명한데, 어떻게 유통기한이 길까요? 세줄 요약 1. 투명증착필름은 알루미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데, 그 이유는 필름 표면에 얇은 코팅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빛, 습기, 산소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해 유통기한을 연장하기 때문입니다.2. 투명증착필름 제조 과정은 원료 선택, 증착 공정, 품질 검사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실리콘 또는 세라믹과 같은 물질이 사용되어 투명성과 보호 기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3. 투명증착필름은 알루미늄을 사용..
서론 알루미늄 포일은 식품 포장에 널리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알루미늄 포일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6~12㎛ 범위로 얇은 수준으로 사용되며, 이정도 두께만으로도 식품 보관과 보호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알루미늄 포일은 산소와 수분을 차단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식품이 공기와 접촉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에는 식품 보호의 최고봉, Al이 어떻게 높은 차단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제조되는지, 어떤 위험성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세줄 요약 1. 알루미늄 포일은 식품 보관에 좋습니다. 식품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하게 해주고, 식품을 안전하게 보호해줍니다. 2. 알루미늄 포일은 알루미늄 판을 여러 번 압연하여 만듭니다. 이 과정이 식품을 오랫동안 신선..
서론 PP는 그 활용이 많은 만큼, 용도에 맞는 물성이 필요합니다. PP는 어떻게 물성이 좋을까요? 이 물음에는 많은 답이 필요합니다. 물성이 좋다는 것은 그 활용에 맞는 물성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며, 수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요구 물성으로 내충격성이 있습니다. 바닥에 떨어졌을 때 깨져버리는 플라스틱 용기와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용기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이것이 내충격성의 차이입니다. 충격에 의해 이 고분자의 결정 안에서의 상호작용들이 깨져버리는 것 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결정 구조에서의 완충 작용을 해줄만한 물질이 필요한데, 이것이 Rubber입니다. 이 중 PP에 많이 사용되는 Rubber는 EPR입니다. EPR EPR은 Ethylene Propylene Rubber의 약자..
서론 식품의 포장은 앞서 살펴본 글들을 통해 중요성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식품은 어떻게 포장될까요? 오늘은 식품 포장이 일어나는데까지의 여정을 함께해보겠습니다. 식품 포장은 그 종류가 너무 다양하지만, 전체적인 틀은 비슷합니다. 그 과정 과정마다 노하우와 기술들이 더해져 퀄리티 있는 식품 포장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연포장의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 세줄 요약 1. 식품 포장 과정은 필름 제조, 인쇄, 합지, 스릿팅 등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과정에는 특별한 노하우와 기술이 필요합니다. 2. 비록 포장이 소비자나 식품 업체들에게 작고 미미한 존재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지만, 현대 식품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그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3. 친환경 포장과 생분해성 포장 등의 이슈가 부각됨에 따라..
서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품의 유통기한이 길어질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쇼핑을 하다보면 간혹 제조일자를 보고, 흠칫한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오래전에 제조된 상품을 확인했을때죠. 잘못 진열된 줄 알고, 유통기한을 확인해보면, 제조일로부터 2년으로 명시되어 있어 두 번 놀라기도 합니다. 식탁위에 올려놓은 국이나, 찌개 등 모든 음식들은 1년은 커녕 1주일 안에 상하는 것이 대반사입니다. 그렇다면, 식품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이렇게 길까요?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줄 요약 1. 식품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은 포장과 처리 방법입니다. 특히, 산소와 수분을 차단하는 우수한 포장지가 중요하며, 이때 Al(알루미늄)이 가장 효과적인 소재로 사용됩니다. 2. Al(알루미늄)..
서론 안녕하세요, 소비자 여러분. 오늘은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포장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특히, PE와 Nylon에 대해 두 가지 필름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장단점과 용도를 살펴보겠습니다. PP, PE에 비해 산소 차단성이 좋으며, 주로 연신 필름으로 사용하는 필름입니다. 대부분 우리가 제품을 볼 때 가장 겉면의 필름이 바로 이 PET 혹은 NY 입니다. PET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약자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중 하나입니다. PET은 강하고 가벼우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투명성이 좋아 다양한 제품의 포장재로 사용됩니다. PET은 고온에도 안정적인 성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음식물을 담는 용기나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