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서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품의 유통기한이 길어질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쇼핑을 하다보면 간혹 제조일자를 보고, 흠칫한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오래전에 제조된 상품을 확인했을때죠. 잘못 진열된 줄 알고, 유통기한을 확인해보면, 제조일로부터 2년으로 명시되어 있어 두 번 놀라기도 합니다. 식탁위에 올려놓은 국이나, 찌개 등 모든 음식들은 1년은 커녕 1주일 안에 상하는 것이 대반사입니다. 그렇다면, 식품의 유통기한은 어떻게 이렇게 길까요?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줄 요약
1. 식품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은 포장과 처리 방법입니다. 특히, 산소와 수분을 차단하는 우수한 포장지가 중요하며, 이때 Al(알루미늄)이 가장 효과적인 소재로 사용됩니다.
2. Al(알루미늄)은 산소 차단성, 수분 차단성 및 세균 차단성이 우수하지만, 뾰족한 것들에 의해 손상될 수 있어 다른 소재와 함께 사용됩니다. 비용 절감과 성능 유지를 위해 Al을 기화시켜 필름에 부착하는 증착 방식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생산된 증착 필름은 비용적으로나 성능적으로나 절충된 결과를 제공합니다.
3. 식품 포장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재활용이 어렵고 환경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가 환경 친화적인 대안을 찾는 데 노력이 필요합니다.
장기 보관을 위한 방법
장기 보관을 위한 방법에는 식품에 처리를 하는 것이 동반되어야 하지만, 그보다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포장과 처리 방법입니다. 외부 환경과의 차단이 주요한 점인데, 대표적으로 식품은 산소와 반응하여 산폐되는 경우가 있고, 수분과 반응하여 가수분해 등 반응이 일어남과 동시에, 미생물 번식에 수분이 활용되어 그 식품의 보관에 영향을 줍니다. 이에 대해서는 산소와 수분 차단이 우수한 포장지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소재에는 Al, EVOH 등이 있으나, 이 중 Al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포장지 구성과 동시에 처리를 통해 그 식품에 대한 보존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으로 멸균이 그 방법입니다. 가압 가열을 하여 고온에서 멸균을 하는 방식으로 식품에 악영향을 주는 세균들에 대해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세균별 사멸 온도를 파악하여, 해당 세균을 표적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주로 121도에서 포자까지 사멸되는 세균들을 목표로 멸균을 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121도에서 멸균 시 더이상 식품 내에서 번식할 세균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환경을 포장지로써 보존하는 것이 멸균 포장의 핵심입니다. 121도라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PP 혹은 LLDPE 에는 상당한 고온으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온도입니다. 따라서, 이에 적합한 CPR이라는 레토르트용 CPP가 사용됩니다.
Al
Al은 알루미늄을 지칭하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있는 알루미늄 호일도 동일합니다. 다만, 알루미늄 호일은 식품 연포장에서 다루기에 두꺼우며, 이보다 얇은 두께인 6, 7, 9, 12㎛과 같은 두께로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산소 차단성과 수분 차단성이 매우 우수하며, 세균 차단성 또한 우수합니다. 하지만, 내핀홀성, 즉, 뾰족한 것들에 의해 손상이 될 수 있는 부분에서 다소 보완이 필요하여, 단독 사용이 아닌 NY, CPP 등과 함께 사용됩니다.
증착
Al을 필름 형태로 사용 시 많은 양의 Al이 필요하며, 이는 고가의 제품이 됩니다. 이에 대해 비용적으로 절감도 하면서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증착 방식입니다. Al을 기화시켜 그 위에 원하는 기재를 위치시켜 기재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생산된 증착 필름을 사용하면, 비용적으로나 성능적으로나 절충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Al 특유의 색상인 은색 빛이 Al 필름에 비해 좀 더 반짝거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뿐만 아니라, 투명 증착이라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는 Al 증착과 추가적인 처리를 통해 투명한 코팅을 형성한 필름을 생산하는데, 이는 증착에 비해 더 높고, Al 보다는 조금 낮은 산소 차단성, 수분 차단성을 지니고 있어 멸균 식품에 적용이 가능한 수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결론
식품의 장기 보관에 꼭 필요한 포장지의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식품 유통기한은 어떻게 길까?에 대한 물음에 답이 되는 글이길 바랍니다.
Al은 포장지에 혼합 시 재활용이 불가하며, 이는 분해가 거의 불가능한 소재이므로, 그 편리함의 이면에 우리의 환경을 위협하는 요소임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재활용 등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연구중이며, 이에 따라 소비자 및 생산자들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고분자의 표면에너지(Surface Energy of Polymer)
서론 고분자의 표면 에너지에 대해 다루는 본 글에서는, 표면 에너지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하여, 그것이 가지는 단위, 의미, 그리고 고분자 과학 및 기술에 있어서의 중요성에 이르기까지 다양
10yp.tistory.com
스티로폼 박스와 그 대체제에 대한 비교 논문 리뷰
서론 포장은 우리 생활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그 수익성과 요구 수준이 다소 낮아 상대적으로 인재들에게, 그리고 기업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포장학
10yp.tistory.com
일회용품 규제 완화 정책의 의미
서론 일회용품 규제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제한이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
10yp.tistory.com
마트에서 산 식품, 포장지는 안전할까요? - 1편
서론 식품 포장은 식품의 품질을 보호하고 저장 수명을 연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이 식품 안전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합니다. 과연 마트에서 산 식품의 포장지는 안
10yp.tistory.com
블로그 인기글
DSC의 원리와 이해
서론 최근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한 식품 포장 소재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고분자 물질인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NY(Nyl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이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들 소재는 각각의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이는 식품의 신선도 유지, 보관, 운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특히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DSC는 물질의 열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 기법으로, 물질이 가열되거..
10yp.tistory.com
FT-IR의 원리와 활용
서론 적외선 분광법은 화학 분석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는 그 중에서도 뛰어난 해석력과 사용의 편리함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FT-IR의 기본 원리와 함께, 이 기술이 어떻게 다양한 측정 방식으로 확장되어 식품 포장 재질 분석 등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FT-IR이 식품 산업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식품 포장지의 재질을 식별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 기술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은 적외선 분광법의 일종으..
10yp.tistory.com
'식품 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PP Polypropylene의 물성이 좋은 이유에 대해 알아봅니다 (1) | 2023.10.23 |
---|---|
식품은 어떻게 포장될까? (1) | 2023.10.18 |
PET와 Nylon에 대하여 (0) | 2023.10.16 |
식품 포장의 살림꾼, PE (0) | 2023.10.15 |
PP 필름으로 식품을 안전하고, 잘 보이게 포장하자! (0) | 2023.10.13 |